https://github.com/dartraiden/NVIDIA-patcher

 

GitHub - dartraiden/NVIDIA-patcher: Adds 3D acceleration support for P106-090 / P106-100 / P104-100 / P104-101 / P102-100 / CMP

Adds 3D acceleration support for P106-090 / P106-100 / P104-100 / P104-101 / P102-100 / CMP 30HX / CMP 40HX / CMP 50HX / CMP 70HX / CMP 90HX / CMP 170HX mining cards as well as RTX 3060 3840SP, RTX...

github.com

예전보다 많이 편해졌습니다. 최신 nvidia 드라이버 받은 후 위 깃헙 주소의 파일 다운받아 덮어 씌우고 드라이버 설치하면 됩니다. 

최신겜도 은근 돌려줘서 아직 안죽은 1060 6g급 그래픽입니다. 

저도 개당 2만인가 1만인가 구매해서 채굴도 잠시 돌렸다가 봉인했는데 Fan이 죽어서 알리서 구매해둔 상태로 봉인했는데 

다시 살려서 eGPU로 만들어 볼까 하네요

반응형

반응형

 

인텔보드였던 Z390이후로 오랜만에 애즈락 타이치 보드를 구매했네요 이번에는 AMD 보드로!! 7950x3D를 써보려고 구매했습니다. 좋은 구매 이벤트도 있고 애즈락의 플래그십 보드이니 만큼 기대가 크네요

겉 박스가 이렇게 한번더 열려서 내부가 보입니다. 나름 고급지네요 ㅎ 저 톱니 볼때마다 돌아갔으면 하네요 ㅎㅎ

타이치 답게 보드 전체적으로 방열판으로 도배되어 있습니다. M.2 방열판은 교체용으로 팬달린것도 제공됩니다.

AMD최초의 LGA 인텔과는 조금 다르군요 ㅎㅎ AMD제품도 써멀가드가 있긴 하더군요 인텔과 달리 써멀 흐르는거 막는 목적이 좀더 큰거 같지만 ㅎㅎ

메모리 장착 개수에 따라 CMOS 초기화시 부팅 속도가 다르군요 부팅속도가 느린게 이번 AMD 이슈긴 하더군요

아무리 초기부트라 해도 400초는 오래걸려도 너무 오래 걸리는...

I/O쉴드쪽 대형 방열판입니다. 내부에 Fan이 보이네요 +.+ 여기에 팬이 있을줄 몰랐네요 ㅎㅎ

타이치의 상징 톱니바퀴입니다. ㅎㅎ 언젠가 저 톱니가 돌아갔으면 합니다 ㅋㅋ 기술적으로 못만들진 않을듯 한데 ㅎㅎ

 

악세사리들입니다. USB 확장이 있군요 것도 2.0버전... 

무선 WIFI 및 Bluetooth용 안테나 입니다.

팬달린 m.2 방열판이 추가로 제공됩니다. PCIE 4.0 NVME는 발열이 센편이라 이렇게 추가 제공해주는건 매우 좋네요 

포인트 키캡입니다 여기에도 톱니바퀴가 포인트네요 ㅎㅎ 이쁩니다. 

아직 모든 부품이 다 오질 않아서.. 완전한 조립은 못했지만 고급형 보드 답게 구성도 알차고 만듬새등이 너무 좋아서 만족 스럽습니다.

6000Mhz램 64기가 세팅 + 4TB NVME 및 7.68 U.2 스토리지로 구성할듯 합니다. 3090아니면 4090 둘중 한놈을 넣어 줄것 같구요 ㅎㅎ

 

 

 

반응형

박스가 생각보다 커서 놀랐네요 외관은 크기에 비해 가볍고 금속재질 아닌 플라스틱 재질입니다. 그점은 좀 아쉽습니다. 

구성품으로는 퀵 스타트 가이드 1부

광케이블 1개

USB 2.0 Type-C 케이블 하나 3.5 to RCA 케이블 하나 제공됩니다. 

전원을 켜면 연결된 샘플링 레이트가 표시됩니다.

볼륨은 db단위로 표시가 되고 윈도우 볼륨과 연동이 됩니다. 

굴러다니는 3.5이어폰으로 잠깐 들어 본 결과 기존에 쓰던 젠하이저 GSX1000보다는 볼륨이 좀더 확보가 되어서 좋네요. 기존 GSX1000은 최대 볼륨이 아쉬운감이 있었는데 사운드블라스터 X5는 볼륨은 충분 했습니다. ​

4.4 밸런스 이어폰/헤드폰 음질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한 활용(스카우트 모드 등)은 좀더 써봐야 알것 같습니다.

반응형

 

8월 30일 오늘 발생한 이슈입니다. 금일 11:30분 알약 일반버전(개인 무료) 업데이트로 랜섬웨어 차단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PC중 일부(일부라 지만 상당수)가 윈도우 시스템 파일 등을 랜섬웨어로 오진 및 삭제하여 부팅불가 상태에 빠트리는 이슈가 발생하였습니다.

현재 PC가 켜져 있으시면 알약 상세 설정에서 랜섬웨어 차단을 끕니다. 윈도우 10이상 사용하시는 분은  디펜더만 사용해도 충분하니 알약이 굳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삭제하세요!

증상 발생은 알약에서 랜섬웨어 차단 탐지 및 컴퓨터 우측 하단에 신고하기 버튼으로 알람이 나오는데 이걸 누르면 먹통이 되어 버립니다.

이런 창이 떴을때 절대로 신고하기를 누르면 안됩니다. 신고하기 누르면... 컴퓨터가 부팅 불가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기업용 버전의 알약을 쓰고 계신분들은 해당 안됩니다.

윈도우 초기화 등으로 복구가 가능하긴 한데 귀찮고 번잡스럽습니다. 현재 알약을 설치해서 쓰고 계시다면 위 설정대로 랜섬웨어 차단기능을 끄거나 삭제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특정포트 사용중인 프로세스ID 찾기

netstat -ano | findstr :포트번호

프로세스 ID로 프로그램명 확인

tasklist | findstr 프로세스ID

프로세스 강제 종료

taskkill /pid 프로세스ID /f
taskkill /IM 프로그램명 /f
반응형

 

요즘 여론조사 전화 짜증 나시죠? 통신사별 차단가능한 방법을 모아봤습니다.

핸드폰으로 전화를 걸어 등록하시면 됩니다.

 

SKT

1. 1547로 전화를 건다.

2. 멘트를 들은 후 1번을 누르고 생년월일을 입력하여 수신거부 등록한다.

 

KT

1. 080-999-1390으로 전화를 건다.

2. 안내멘트가 나온 후 자동으로 수신거부 되면서 끊어진다.

 

LG유플러스

1. 080-855-0016으로 전화를 건다.

2. 안내멘트 들은 후 1번을 누른다.

 

 

 

 

 

 

 

반응형

윈도우 11의 경우 tpm모듈이 필수(편법으로 설치는 가능)인데 요즘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인텔은 tpm이란 이름이고 amd시스템의 경우 ftpm의 형태로 제공이 됩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화 면에서 활성화를 시킬수 있습니다.

다만, 인텔은 문제가 없는데 AMD에서 이 ftpm을 활성화 하고 윈도우 11을 사용할 경우 게임에서는 알수 없는 스터터링(잔렉이라고 보면 됩니다, 마우스 움직임이 스킵되는 등의 짜증나는 증상) 유투브등 동영상을 볼때도 오디오가 갑자기 멈추는듯한 다~다~다~다~ 늘어지면서 끊기다가 정상화 되는 증상이 발생합니다.

AMD는 최근에서야 이증상을 공식 인정햇고 5월중 각 메인보드 제조사의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해결해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다만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얼마나 빨리 업데이트 해줄지는 또 모르는 일이라 마냥 기다리기가 힘드네요.

현 시점에서 해결책은 ftpm 비활성화한 상태로 윈도우 10을 사용해야 하거나 ftpm 활성화 한 후 윈도우11을 설치하고 다시 ftpm을 비활성화 해도 해당증상이 줄긴 합니다. 다만 메이저 윈도우 업데이트시 설치가 안되거나 하는 문제는 발생할 수도 있어서 전 별도의 tpm 모듈을 알리에서 구매했습니다. tpm모듈은 사용하시는 메인보드별 pin수가 달라서 확인하시고 구매하셔야 합니다. 전 기가바이트 12핀이라 12핀 모듈을 구매했습니다.

주말에 장착 해봐야 겠네요.

AMD가 윈도우11관련 최적화를 별로 신경 안쓴것 같습니다. 간만에 AMD시스템으로 쓰고 있는데 아마도 인텔 13세대가 나오면 다시 인텔로 가지 않을까 싶네요. 확실히 윈텔 조합이 안정성이 좋습니다.

혹시나 시스템에 알수 없는 렉과 음성이 늘어지는것을 경험하셨다면 시도해보세요~

반응형

◎ root 사용자 변경
sudo -i 

◎ get-pip.py 다운로드
curl https://bootstrap.pypa.io/get-pip.py -o get-pip.py

◎ pip 설치
python3 get-pip.py 

◎ requests 설치
python3 -m pip install requests 

◎ Selenium 설치
python3 -m pip install selenium 

◎ beautifulsoup4 설치
python3 -m pip install beautifulsoup4

기본 패키지 설치
반응형

이번 패치로 이제 S22 시리즈, S21시리즈, 노트20 시리즈도 기존 방식으로 gos를 해제 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Package Disabler와 adb로 해제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중 adb를 활용한 해제 방법을 포스팅합니다. 
 

#1. 스마트폰 설정 
설정에서 빌드 넘버 연타해서 개발자 모드 활성화
개발자 옵션 항목 중 USB Debugging 활성화
 
#2. adb 개발 도구 다운로드
https://dl.google.com/android/repository/platform-tools-latest-windows.zip
적당한 위치에 압축을 품 (예 c:\adb, 가급적 최상위 경로에 한글 경로 미포함을 추천) 

#3. 윈도우 명령창을 실행해서 adb 경로로 이동한다 
탐색기에서 adb 설치 경로 상단 주소표시줄에서 다지우고 cmd 엔터 치면 바로 해당경로로 명령창이 실행 됨



#4. PC와 휴대폰 usb 연결
갤럭시폰을 윈도우PC에 연결하면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다운로드 된다

#5. adb 장치 확인
명령창에서 adb devices 명령어를 치면 unauthorized라고 뜨는데 스마트폰에서 기기 허용을 누르면 device로 변경이 된다.


#6. gos 비활성화 명령어 입력 
adb shell pm disable-user --user 0 com.samsung.android.game.gos

adb shell pm disable-user --user 0 com.samsung.android.game.gametools

위 이미지와 같이 상태가 diabled-user라고 뜨면 된다.


#7. 마지막으로 강제 종료 및 데이터 삭제
설정 - 애플리케이션 - 검색(필터버튼 눌러 시스템앱 표시)
'game'으로 검색 : gaming optimizing service 강제중지 - 사용안함 확인 및 저장공간 터치 데이터 삭제

'게임'으로 검색 : 게임런처, 부스터앱 강제중지 - 사용안함 확인 및 저장공간 터치 데이터 삭제

최종적으로 다시 검색했을때 사용안함으로 표시되어야 함

폰을 재부팅하여 마무리!!


※ 다시 활성화를 하려면 위 1~5번까지 과정을 한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adb shell pm enable --user 0 com.samsung.android.game.gos

adb shell pm enable --user 0 com.samsung.android.game.gametools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