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가 생각보다 커서 놀랐네요 외관은 크기에 비해 가볍고 금속재질 아닌 플라스틱 재질입니다. 그점은 좀 아쉽습니다. 

구성품으로는 퀵 스타트 가이드 1부

광케이블 1개

USB 2.0 Type-C 케이블 하나 3.5 to RCA 케이블 하나 제공됩니다. 

전원을 켜면 연결된 샘플링 레이트가 표시됩니다.

볼륨은 db단위로 표시가 되고 윈도우 볼륨과 연동이 됩니다. 

굴러다니는 3.5이어폰으로 잠깐 들어 본 결과 기존에 쓰던 젠하이저 GSX1000보다는 볼륨이 좀더 확보가 되어서 좋네요. 기존 GSX1000은 최대 볼륨이 아쉬운감이 있었는데 사운드블라스터 X5는 볼륨은 충분 했습니다. ​

4.4 밸런스 이어폰/헤드폰 음질이나 프로그램을 이용한 활용(스카우트 모드 등)은 좀더 써봐야 알것 같습니다.

반응형

 

8월 30일 오늘 발생한 이슈입니다. 금일 11:30분 알약 일반버전(개인 무료) 업데이트로 랜섬웨어 차단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PC중 일부(일부라 지만 상당수)가 윈도우 시스템 파일 등을 랜섬웨어로 오진 및 삭제하여 부팅불가 상태에 빠트리는 이슈가 발생하였습니다.

현재 PC가 켜져 있으시면 알약 상세 설정에서 랜섬웨어 차단을 끕니다. 윈도우 10이상 사용하시는 분은  디펜더만 사용해도 충분하니 알약이 굳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삭제하세요!

증상 발생은 알약에서 랜섬웨어 차단 탐지 및 컴퓨터 우측 하단에 신고하기 버튼으로 알람이 나오는데 이걸 누르면 먹통이 되어 버립니다.

이런 창이 떴을때 절대로 신고하기를 누르면 안됩니다. 신고하기 누르면... 컴퓨터가 부팅 불가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기업용 버전의 알약을 쓰고 계신분들은 해당 안됩니다.

윈도우 초기화 등으로 복구가 가능하긴 한데 귀찮고 번잡스럽습니다. 현재 알약을 설치해서 쓰고 계시다면 위 설정대로 랜섬웨어 차단기능을 끄거나 삭제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특정포트 사용중인 프로세스ID 찾기

netstat -ano | findstr :포트번호

프로세스 ID로 프로그램명 확인

tasklist | findstr 프로세스ID

프로세스 강제 종료

taskkill /pid 프로세스ID /f
taskkill /IM 프로그램명 /f
반응형

+ Recent posts